- 1미래를 먹여 살리기: 작물 유전자 다양성 보존의 핵심인 CRISPR 유전자 편집
- 2영국에서 정밀 육종 기술이 유전자 편집을 통해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 3[관점] 유전자 편집 작물에 대한 글로벌 표준 규제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4향후 20년 안에 식량 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작물 육종의 획기적인 발전, 글로벌 종자 부문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530년이 지난 지금, 농업 유전 공학의 지혜에 대해 오랫동안 의견이 분분한 뉴질랜드 사람들은 유전자 편집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 6기후 적응형 작물, '유전자 편집 식품의 새로운 시대' 개막
- 7화학 물질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유럽 연구에 따르면 GM과 유전자 편집 작물이 해결책입니다.
- 8가뭄에 강한 유전자 변형 밀은 미국에서 수입해도 괜찮습니다.
- 9관점: 유기농 신기루: 가난한 사람들은 농약과 농작물 생명공학에 대한 반발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 10[NEWS] 유전자가위, "기존의 GM기술보다 안전성에 대한 의문 더 많아" 설문조사
생명공학작물은 어떻게 개발되기 시작했나요?
농업생명공학기술은 유전자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됐습니다.
처음 이 연구를 시작한 사람은 멘델입니다.
1856년 멘델은 3만 개의 완두콩으로 교배실험을 실시, 생물의 유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세가지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1953년 왓슨과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면서 유전자 연구는 활기를 띄기 시작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핵심 유전정보가 담긴 DNA가 생명체에 작용하는 과정이 알려졌고, 생물의 유전자를 다른 생물에게 이식하는 유전 공학 연구가 본격화됐습니다.
그리고 1983년 최초의 생명공학작물인 항생제 카나마이신 저항성 담배와 페튜니아의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최초의 상업화된 생명공학작물은 1994년 칼젠(Calgene)사에 의해 개발된 무르지 않는 토마토입니다.
■ 생명공학작물 개발의 역사
1세대 생명공학작물
생산량 증가, 영농 편이, 살충제 사용량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됐습니다.
제초제내성, 해충저항성, 바이러스 저항성 등의 형질을 지닌 작물이 대표적이며 이미 실용화된 상태입니다.
이 작물들은 실제 살충제 사용량과 노동력을 줄였고,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2세대 생명공학작물
1세대 작물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면, 2세대 작물은 영양적가치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인체에 유익한 성분(비타민, 불포화지방산, 철분, 플라보노이드, 약리성분, 식용백신 등)의 함량을 높인 작물 개발로 2000년 들어 본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3세대 생명공학작물
건강증진과 대체 에너지 생산을 목표로 합니다.
고부가가치를 가진 먹는 백신과 약리성분이 첨가된 작물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