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뉴스메이커 최영진 기자kmopen92@chol.com조류독감, 광우병 파동으로 인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다. 사람들은 살충제와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을 많이 찾고 있다. 유기농은 환경보존 역할도 하고, 거리의 안전성도 담보하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다만 유기농법으로 방제할 수 없는 해충과 질병이 존재하고, 생산가와 구입가가 비싸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된다. 그래서 생겨난 것인 생명공학식품이다. 흔히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조작 ->유전자재조합생물체) 식품이라고 말한다. 생명공학은 품종개량 및 유전자공학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GMO 농작물의 역사는 10년이 조금 넘었다. 1994년 미국 칼진사에서 ‘무르지 않는 토마토’를 미국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얻어 시판한 것이 최초다. 그 후 몬산토사가 1996년부터 유전자재조합 콩을 상업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고, 미국은 GMO 농작물의 천국으로 불리면서 콩과 옥수수 등을 재배 시판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생명공학식품을 두려워한다. 지난 2월 한국전분당협회와 몇몇 기업에서 GMO 옥수수를 수입한다고 했을 때, 많은 비판이 일었던 것이 그 예다. 또한 환경론자와 생명공학자 사이에서는 생명공학식품에 대한 찬반양론이 극렬하게 나눠지고 있다. 그만큼 유기농과 생명공학식품을 바라보는 것은 철학과 문화적으로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다. 생명공학식품 개발에 종사하는 과학자는 ▲식량문제 해결 ▲식품 영양 개선 ▲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이유로 적극 찬성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론자는 생명공학식품에 대해 ▲생태학적 위험 ▲기아 문제는 식량부족이 원인이 아니라 분배 구조의 문제 ▲과학적․윤리적 검증작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근본적인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유기농과 생명공학식품의 어울리지 않는 결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유기농과 생명공학식품의 공존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영국의 PG이코노믹스의 그라함 브룩소 소장은 “2005년 생명공학작물 재배를 통해 증가한 농업소득 중 가장 큰 부분은 개발도상국의 농민에게 돌아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뉴욕 이타카에 있는 코넬 대학의 국제 겸임교수인 크레이그 마이즈너 역시 “유감스럽게도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여러 개발도상국의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유기물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면서 “유기농이 세계 식량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밝힌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교수인 Pamela Ronald 교수는 지난 3월 16일 보스턴 글로브지에 ‘The new organic’이라는 글을 기고했다. 1997년 초 중국 북부 면화 농장에 불었던 변화의 바람을 예로 들고 있다. 새로운 농업기술을 채택해 훨씬 적은 양의 살충제를 사용해 면화 수확량은 증가했고 생산 비용은 감소했고, 또한 살충제와 관련한 농민의 질병이 이전 해의 1/4 수준으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한다. Ronald 교수는 “이 이야기는 유기농 옹호자들이 원한 농약에 대한 승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다”면서 “환경에 심각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세계 인구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생명공학기술과 유기농을 결합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생명공학기술은 생태적 농업혁명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지속적인 운동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는 수단이다”라고 말한다. Ronald 교수가 이런 주장을 펴는 데는 2050년 92억의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 현재의 작물 수확량과 농경법으로는 불가능하고, 미개간지의 대부분을 개간하고 농약을 뿌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수백만의 조류와 수십억의 유익충은 서식지를 잃고 농약으로 폐사할 것이면, 농장 작업자들의 질병 위험은 증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환경 파괴로 인해 수십억 달러의 손해를 입게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생명공학기술이 환경보호와 식량 생산을 증대하는 더 나은 방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렇게 생명공학기술과 유기농의 결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두 진영의 골은 깊기만 하다. 또한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생명공학식품에 대한 선입견 역시 높다. 하지만 유기농만으로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인구를 먹여살리는 것도 불가능하다. 어울리기 힘들 것 같은 유기농과 생명공학식품의 결합이 가능하다면 이보다 더 좋은 해결책은 없는 이유다.
|
|
|
|
|
|
|
|
인도 농민은 2002년 생명공학작물을 처음 재배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농업생명공학기술을 가장 급속히 채택하고 있는 국가이다. 경제학자이자 경제연구업체 Indicus Analytics 사의 창업주인 라비쉬 반다리(Laveesh Bhandari) 박사는 “전반적으로 생명공학기술의 도입으로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인도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은 바로 우리가 추구하는 바이다”라고 말했다.인도의 면화재배지역에서 농업생명공학기술이 개인, 가정,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최근 연구에서, Indicus 지는 생명공학 해충저항성 면화를 재배하는 농민과 재배하지 않는 면화농민 10,000명을 인터뷰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농가와 비교하여 생명공학작물 재배농가의 여성이 임신 검진과 같은 모자보건 서비스를 더 많이 받는 나타났다. 생명공학작물을 주로 재배하는 농가의 아동은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농가의 아동에 비해 면역수준과 취학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다리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생명공학작물 면화 재배지역의 수입과 모자보건 서비스 이용률, 취학률이 더 높은 등, 생명공학면화는 가정과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에 상당히 경이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인도 5,000만 농가 중 약 95%는 농업에서 충분한 생활비를 벌지 못하는 자원이 부족한 농민이다. 반다리 박사는 생명공학면화에 반대하는 자들에게 2006년 인도에서 식물생명공학기술을 사용한 230만 농민들과 대화할 것을 촉구한다.반다리 박사는 “생명공학기술의 사용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농민들이 가장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농민들은 생명공학기술 찬성 의사를 매우 뚜렷하게 밝혔다”고 설명한다. 농업생명공학응용을위한국제서비스(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에 따르면 2006년 생명공학 재배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인도로, 생명공학 재배농민은 192% 증가했으며 재배면적은 2005년 325만 에이커(130만 헥타르)에서 2006년 950만 에이커(380만 헥타르)로 거의 3배 증가했다.반다리 박사는 생명공학 채택을 주도한 이익 중 하나는 전통적인 농경법에 비해 비용이 감소함으로써 농장수입이 증가한 점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비생명공학면화를 재배하는 농민은 농약과 같은 투입비용을 훨씬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고 말한다.또한 “생명공학면화를 재배하는 농민은 더 나은 농업기술에 많이 투자할 수 있어 더 많은 자산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자녀 교육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생명공학작물 재배 농가는 의료비용을 더 많이 지출 수 있으며 모자보건에도 훨씬 많은 비용을 지출할 수 있다”고 말한다.반다리 박사는 “농가의 수입이 늘어남으로써 더 많은 서비스와 제품을 요구하게 된다며 수입이 높아지면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을 요구하며 이는 생명공학면화를 직접 생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 및 수준 향상을 요구할 때 전반적으로 지역사회는 이익을 얻는다”고 덧붙였다. *Bt 면화에는 특정한 인시류 해충으로부터 면화를 보호하는 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헥타르 = 2.5 에이커라비쉬 반다리 박사직책: Indicus Analytics 사 창업주학력: 보스톤 대학 경제학 석사, 박사 주요 이력: 델리 소재 인도기술원 방문교수, ‘Social and Economic Profile of India’등 다수의 저서 집필기사원문: http://www.monsanto.com/biotech-gmo/asp/experts.asp?id=LaveeshBhandari
|
|
개발도상국의 기아와 영양부족에 대한 이익이 손실을 능가유엔은 수십 년 내에 인구성장률이 년간 약 7,3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식량수요 증가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전세계 약 8억 인구의 식량 안보는 이미 위태로운 상태로 굶주림과 기아의 공포 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지금 이 시간에도 1분에 10명의 취학 전 아동이 기아와 영양실조로 죽어가고 있으며 연간 약 600만 명의 취학 전 아동이 헛되이 죽어간다. 코넬 대학 식품영양대중정책학 밥콕(H.E. Babcock) 교수이자 응용경제학 교수이며 2001년 세계식품상(World Food Prize) 수상자로, 2020 비전 이니셔티브(Vision Initiative)의 기폭제 역할을 한 핀스트럽 앤더슨(Per Pinstrup-Andersen) 박사는 아동들이 충분히 먹지 못해 죽어간다고 말했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는 생명공학작물의 사용을 포함하여 식량생산 지원을 위한 연구와 관련 정책의 증진을 주창했다. 식량난으로 고통 받는 이들의 75%는 농촌지역에 거주한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그들을 가난에서 구하려면 그들이 가진 자원에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농업분야의 연구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가난과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이들의 대다수는 직간접적으로 농업에 생계를 의존하므로 개발도상국 소규모 농민들의 생산성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20세기 전반에 걸친 농업생산성 향상으로 수확량이 증가하고 영양이 개선되었으며 영세 농민의 수입이 증가함으로써 수백만 명의 빈곤이 경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식량안보는 불안정한 수준이다. 조사에 따르면 생산성이 높은 농업은 수입을 증가시키고 가족농업 경제를 향상시키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농가 생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경제에 이익을 줄 잠재력이 있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소규모 농민들이 자신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는 가뭄저항성작물을 개발할 수 있다면 다음에 가뭄이 닥칠 때 농민들은 얼마간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식량생산 증대를 위한 생명공학의 이점 가운데 하나에 대해 설명했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예전에는 가뭄이 닥치면 농민들이 작물을 수확할 수 없어 아이들이 굶어 죽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뭄저항성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지금, 가뭄에 아이들을 살리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입장이라면 그것이 생명공학작물이든, 그렇지 않든, 그다지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라며 “1분에 10명씩 죽어 가는 아이들을 생각해 보라. 죽음은 돌이킬 수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생명공학작물의 위해성과 이익을 비교해야만 하는가?”라고 덧붙였다.세계식량수요회의의 생명공학기술의 역할에 관한 2000년 보고서에서, 국가과학원(National Academies)과 6개 국제 과학기구는 타 분야의 중요한 개발과 더불어 주요 식품작물의 생산을 증대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며 환경에 미치는 농업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소규모 농민들의 식량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국제식량정책연구소(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국제농업연구자문기구(Consultative Group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농업생명공학응용을 위한 국제서비스(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교황과학원(Pontifical Academy of Sciences), 너필드생명윤리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을 포함하여 다른 단체도 비슷한 의견을 발표했다.곡물생산 증가요구는 재배지 확장에 의해 충족될 수 없다. 유감스럽게도 농민들의 자체 곡물수확량 성장률은 매우 저조하지만 증가된 곡물수요 충족의 의무는 작물 수확량 향상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세계 식량 수요와 공급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과 철저한 정책이 요구된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질문을 던졌다: “농업에 적합한 토지에서 농민들의 생산 증대를 돕기 위해 과학기술을 적용하려고 하는가? 기아와 영양결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과학이 제공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농민들은 이용하지 않아야 할 것인가? 물론 농민들은 이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이에 동의하지는 않는 것 같다”핀스트럽 앤더슨 (Per Pinstrup-Andersen) 박사직책: 코넬 대학 식품영양대중정책학 밥콕(H.E. Babcock) 교수 겸 응용경제학 교수학력: 오클라호마 주립대학 이학 석사, 박사; 덴마크 왕립 농수의학 대학 학사주요 이력: 2001년 세계식품상(World Food Prize) 수상; 2020 비전 이니셔티브(Vision Initiative)의 기폭제 역할; 수 많은 상과 명예 학위를 수상; 저서 ‘Seeds of Contention’을 포함하여 수많은 저서, 논문, 기사 집필기사원문:http://www.monsanto.com/biotech-gmo/asp/videogallery.asp?fr_story=6b62a484fd5820bda5ac293b2775e52366587279
|
|
개발도상국의 기아와 영양부족에 대한 이익이 손실을 능가UN은 수십 년 내에 인구성장률이 년간 약 7,3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식량수요 증가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전세계 약 8억 인구의 식량 안보는 이미 위태로운 상태로 굶주림과 기아의 공포 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지금 이 시간에도 1분에 10명의 취학 전 아동이 기아와 영양실조로 죽어가고 있으며 연간 약 600만 명의 취학 전 아동이 헛되이 죽어간다. 코넬 대학 식품영양대중정책학 밥콕(H.E. Babcock) 교수이자 응용경제학 교수이며 2001년 세계식품상(World Food Prize) 수상자로, 2020 비전 이니셔티브(Vision Initiative)의 기폭제 역할을 한 핀스트럽 앤더슨(Per Pinstrup-Andersen) 박사는 아동들이 충분히 먹지 못해 죽어간다고 말했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는 생명공학작물의 사용을 포함하여 식량생산 지원을 위한 연구와 관련 정책의 증진을 주창했다. 식량난으로 고통 받는 이들의 75%는 농촌지역에 거주한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그들을 가난에서 구하려면 그들이 가진 자원에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농업분야의 연구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가난과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이들의 대다수는 직간접적으로 농업에 생계를 의존하므로 개발도상국 소규모 농민들의 생산성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20세기 전반에 걸친 농업생산성 향상으로 수확량이 증가하고 영양이 개선되었으며 영세 농민의 수입이 증가함으로써 수백만 명의 빈곤이 경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식량안보는 불안정한 수준이다. 조사에 따르면 생산성이 높은 농업은 수입을 증가시키고 가족농업 경제를 향상시키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농가 생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경제에 이익을 줄 잠재력이 있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소규모 농민들이 자신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는 가뭄저항성작물을 개발할 수 있다면 다음에 가뭄이 닥칠 때 농민들은 얼마간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식량생산 증대를 위한 생명공학의 이점 가운데 하나에 대해 설명하였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예전에는 가뭄이 닥치면 농민들이 작물을 수확할 수 없어 아이들이 굶어 죽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뭄저항성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지금, 가뭄에 아이들을 살리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입장이라면 그것이 생명공학작물이든, 그렇지 않든, 그다지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라며 “1분에 10명씩 죽어 가는 아이들을 생각해 보라. 죽음은 돌이킬 수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생명공학작물의 위해성과 이익을 비교해야만 하는가?”라고 덧붙였다.세계식량수요 회의의 생명공학기술의 역할에 관한 2000년 보고서에서, 국가과학원(National Academies)과 6개 국제 과학기구는 타 분야의 중요한 개발과 더불어 주요 식품작물의 생산을 증대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며 환경에 미치는 농업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소규모 농민들의 식량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국제식량정책연구소(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국제농업연구 자문기구(Consultative Group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농업생명공학 적용을 위한 국제서비스(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교황과학원(Pontifical Academy of Sciences),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을 포함하여 다른 단체도 비슷한 의견을 발표하였다.곡물생산 증가요구는 재배지 확장에 의해 충족될 수 없다. 유감스럽게도 농민들의 자체 곡물수확량 성장률은 매우 저조하지만 증가된 곡물수요 충족의 의무는 작물 수확량 향상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세계 식량 수요와 공급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과 철저한 정책이 요구된다.핀스트럽 앤더슨 박사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질문을 던졌다: “농업에 적합한 토지에서 농민들의 생산 증대를 돕기 위해 과학기술을 적용하려고 하는가? 기아와 영양결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과학이 제공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농민들은 이용하지 않아야 할 것인가? 물론 농민들은 이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이에 동의하지는 않는 것 같다”핀스트럽 앤더슨 (Per Pinstrup-Andersen) 박사 약력직책: 코넬 대학 식품영양대중정책학 밥콕(H.E. Babcock) 교수 겸 응용경제학 교수학력: 오클라호마 주립대학 이학 석사, 박사; 덴마크 왕립 농수의학 대학 학사주요 이력: 2001년 세계식품상(World Food Prize) 수상; 2020 비전 이니셔티브(Vision Initiative)의 기폭제 역할; 수 많은 상과 명예 학위를 수상; 저서 ‘Seeds of Contention’을 포함하여 수많은 저서, 논문, 기사 집필
|
|
유장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부장
비타민 A가 부족하게 되면 야맹증이 나타난다. 또한 상피세포 이상으로 안구 건조증이나 피부병에 잘 걸리게 된다. 그런데 쌀에는 비타민 A가 전혀 들어 있지 않으므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비타민 A 결핍증에 걸리기가 쉽다. 물론 비타민 A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으로는 동물의 간, 어유, 달걀, 우유, 버터, 치즈, 녹황색 채소, 과일, 김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런 종류의 음식을 많이 먹는 편이므로 요즘 우리 주위에서 비타민 A 결핍증을 염려해야 할 사람들은 별로 없다. 그러나 주식으로 하는 쌀 이외의 다른 식품의 공급이 여의치 않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비타민 A 결핍증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7-8년 전 스위스의 잉고 포트리쿠스(Ingo Potrykus) 박사는 수선화의 유전자 둘과 세균의 유전자 하나 등 카로티노이드라는 물질을 생합성하는데 관여하는 3개의 유전자를 벼에 도입함으로써 비타민 A의 전구체인 프로비타민A라는 물질이 쌀에서 만들어지도록 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프로비타민 A는 우리 몸에서 분해 되어 비타민 A로 전환되므로 이 쌀을 먹으면 비타민 A 결핍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프로비타민 A는 일종의 색소로서 노란빛을 띤다. 당연히 프로비타민 A를 만들도록 생명공학기술이 도입된 쌀도 일반 쌀과는 뚜렷이 구별될 만큼 노란빛을 띤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바로 ‘황금쌀(Golden Rice)'이다.
[일반쌀] [황금쌀] 비타민A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황금빛을 띔 [출처: goldenrice.org] 이 황금쌀이 주는 의미는 대단히 크다. 우선 이전의 생명공학콩이나 옥수수는 내충성 혹은 제초제 내성 등의 형질을 갖도록 변형된 것으로서 이런 종자로 농사를 지으면 병충해를 방지하거나 김을 매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확량도 증가하므로 농민들에게는 큰 이익을 준다. 따라서 이전의 생명공학작물이 농민에게 이익을 주었다면 황금쌀은 소비자에게 이익을 준다는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과학기술적 측면에서도 내충성 혹은 제초제 내성 작물을 만들기 위해서 도입해야 하는 핵심적인 유전자는 하나면 충분하였는데 황금쌀을 개발하기 위해서 황금쌀을 도입하기 위해서 세 개의 유전자를 도입하였다는 것도 대단한 성과로 평가된다. 포트리쿠스 박사는 황금쌀이 개발도상국 사람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이용되기를 희망하여 개발에 따른 특허출원을 포기한 바 있다. 실제로 황금쌀을 상업화하기 위해서는 수십 건의 기존 특허와의 마찰을 피할 수 없었는데 스위스 개발자의 뜻대로 황금쌀의 인류의 건강 증진에 쓰이도록 하기 위하여 관련 주요 특허를 가지고 있는 많은 기업들이 관련 특허에 대한 침해를 용인하였다. 어찌 황금쌀 뿐이랴. 성인병이나 암을 예방하는 생명공학쌀, 콩, 옥수수가 조만간 개발되어 소비자들의 건강 증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10년 내에 우리 식탁에 오르는 식품의 70% 정도가 생명공학농산물로 될 것이라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관련 링크 http://www.croplifeasianewskorea.net/modules/contents/ct_view.html?id=column&p=5&no=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