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2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3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4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5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6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7'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 8관점: 유기농업은 대중이 믿는 것만큼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 9관점: GMO 작물에 대한 활동가 비판자들은 생명공학이 농업에서 화학 물질 사용을 증가시킨다고 거짓 주장합니다.
- 10인도, 새로운 게놈 편집 쌀 개발로 수확량 30% 증가
최신뉴스

생명공학작물 공개적으로 다루어져야
[Daily Telegraph]
2008년 11월 22일
우리는 혼란으로부터 오직 4일 간의 격차가 있을 뿐이라는 말을 아는가? 역사상 전 세계 인구에게 음식을 공급할 수 없는 시점에 다 달았다. 지구가 모든 인구를 충족시킬 만한 음식을 생산해 낼 수 없을 정도로 세계 인구가 증가했다. 이러한 과잉 인구 현상은 지속될 것이고 이 문제에 대해 다룰 때가 왔다.
그렇다면 생명공학작물이 답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는 충분히 생각해 볼 거리이다.
이 물음은 본인이 제작한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찬반 의견 다큐멘터리의 시작점이다. 영국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이 문제에 직접 관여되는 일반 대중사이에서는 논쟁이 진행되지 않았다.
일반 대중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진행했다. 노리치 거리에서 쇼핑하는 사람들을 세우고 생명공학 식용유와 일반 식용유로 조리된 소시지를 고르도록 했다. 즉각적으로 사람들은 일반 식용유에서 조리된 소시지를 선택했다. 그 이유를 물었을 때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문제를 조사하기 시작했을 때 생명공학식품은 비주류 음식이라고 간주했다. 즉, 영국 사람들이 대부분 접하지 못하는 음식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한 채 생명공학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을 섭취하고 있을 수 있다.
영국에서 실제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생명공학작물은 그렇게 많지 않다. 대부분이 옥수수, 콩, 쌀, 면화이고 대부분은 지난 수 십 년 동안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해 온 미국에서 생산된 것이다. 하지만 처음 두 가지 품목은 우리 일상 식단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피하기 어렵다. 옥수수는 탄산 음료에서 발견되는 옥수수 시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콩은 수 많은 동물 사료의 주재료로 쓰이고 이 역시 우리 식단에 영양을 미치기는 마찬가지이다.
미국에서 수입된 작물은 생명공학작물인지 아닌지 밝힐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생명공학작물 여부에 대한 표시를 명확하게 해서 사람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하도록 해야 한다. 사람들이 생명공학작물을 구매하지 않으면 생명공학작물은 재배되지 않을 것이다.
몇몇 사람들은 영국을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지역으로 설정하고 비 생명공학식품을 위한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본인 역시 생명공학작물이 아닌 작물을 위한 농장을 운영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지역에서 사육된 돼지를 돈을 조금 더 주더라도 구입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인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사육된 돼지가 전 세계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일부는 충족시킬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전 세계 인구를 충족시킬 수는 없다.
국제 시장을 상대로 운영하는 대형 농장주들은 생명공학 시장이 보유한 잠재력을 잘 알고 있다. 이사람들은 수에 밝은 농장 경영자들이다. 그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만약 브라질 같이 다른 나라에서 농장주들이 살충제를 적게 써도 되는 BT 옥수수와 같은 생명공학작물을 농작함으로써 이득을 본다면 기꺼이 비료와 연료를 지불할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유기농작물을 옹호하는 사람은 전적으로 생명공학작물을 반대한다. 단순히 생명공학작물이 생명공학작물의 유전자를 비생명공학작물에 옮길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재난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생명공학작물을 기르는 것은 판도라의 상자와 같다. 어쩌면영국에 처음으로 토끼를 도입시킨 로마인들과 같다문제는 공상 과학 소설에서와 같이 생명공학작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어 슈퍼 작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생명공학 종자의 유전자가 비 생명공학작물과 수정하여 그것이 생태계로 퍼져나가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모르는 방식으로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깨뜨리는 경우이다.
본인은 단순히 생명공학에 대해 전단지나 붙이며 홍보하는 사람이 아니다. 과학적 지식을 배경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농장주이다. 동물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곤충학 분야에서 박사를 받았다. 본인은 작물을 재배하는 만큼 과학 분야에 관심이 많다. 본인이 원하는 것은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적으로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아니다. 생명공학기술의 가능성은 어떠하고 그것이 초래할 결과는 어떠할 지 알고 싶은 것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선택에 있어 자유의 문제이다. 만약 생명공학제품을 먹고 싶다면 모든 사람은 그것을 먹을 권리가 있다. 더 중요하게는 생명공학제품을 먹고 싶지 않다면 먹지 않을 권리 역시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리는 이미 빼앗긴 것으로 보인다. 결국 생명공학작물은 전세계적으로 이미 재배되고 있다.
찰스 왕자는 생명공학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고 농업계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찰스 왕자처럼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생명공학작물의 현 주소가 답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과학의 발달이 초래하는 결말뿐만 아니라 그 과정 중에도 엄밀하고 공개적으로 이에 대해 논의할 책임이 있는 것이다.
기사원문보기
2008년 11월 22일
우리는 혼란으로부터 오직 4일 간의 격차가 있을 뿐이라는 말을 아는가? 역사상 전 세계 인구에게 음식을 공급할 수 없는 시점에 다 달았다. 지구가 모든 인구를 충족시킬 만한 음식을 생산해 낼 수 없을 정도로 세계 인구가 증가했다. 이러한 과잉 인구 현상은 지속될 것이고 이 문제에 대해 다룰 때가 왔다.
그렇다면 생명공학작물이 답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는 충분히 생각해 볼 거리이다.
이 물음은 본인이 제작한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찬반 의견 다큐멘터리의 시작점이다. 영국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이 문제에 직접 관여되는 일반 대중사이에서는 논쟁이 진행되지 않았다.
일반 대중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진행했다. 노리치 거리에서 쇼핑하는 사람들을 세우고 생명공학 식용유와 일반 식용유로 조리된 소시지를 고르도록 했다. 즉각적으로 사람들은 일반 식용유에서 조리된 소시지를 선택했다. 그 이유를 물었을 때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문제를 조사하기 시작했을 때 생명공학식품은 비주류 음식이라고 간주했다. 즉, 영국 사람들이 대부분 접하지 못하는 음식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한 채 생명공학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을 섭취하고 있을 수 있다.
영국에서 실제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생명공학작물은 그렇게 많지 않다. 대부분이 옥수수, 콩, 쌀, 면화이고 대부분은 지난 수 십 년 동안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해 온 미국에서 생산된 것이다. 하지만 처음 두 가지 품목은 우리 일상 식단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피하기 어렵다. 옥수수는 탄산 음료에서 발견되는 옥수수 시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콩은 수 많은 동물 사료의 주재료로 쓰이고 이 역시 우리 식단에 영양을 미치기는 마찬가지이다.
미국에서 수입된 작물은 생명공학작물인지 아닌지 밝힐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생명공학작물 여부에 대한 표시를 명확하게 해서 사람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하도록 해야 한다. 사람들이 생명공학작물을 구매하지 않으면 생명공학작물은 재배되지 않을 것이다.
몇몇 사람들은 영국을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지역으로 설정하고 비 생명공학식품을 위한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본인 역시 생명공학작물이 아닌 작물을 위한 농장을 운영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생명공학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지역에서 사육된 돼지를 돈을 조금 더 주더라도 구입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인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사육된 돼지가 전 세계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일부는 충족시킬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전 세계 인구를 충족시킬 수는 없다.
국제 시장을 상대로 운영하는 대형 농장주들은 생명공학 시장이 보유한 잠재력을 잘 알고 있다. 이사람들은 수에 밝은 농장 경영자들이다. 그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만약 브라질 같이 다른 나라에서 농장주들이 살충제를 적게 써도 되는 BT 옥수수와 같은 생명공학작물을 농작함으로써 이득을 본다면 기꺼이 비료와 연료를 지불할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유기농작물을 옹호하는 사람은 전적으로 생명공학작물을 반대한다. 단순히 생명공학작물이 생명공학작물의 유전자를 비생명공학작물에 옮길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재난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생명공학작물을 기르는 것은 판도라의 상자와 같다. 어쩌면영국에 처음으로 토끼를 도입시킨 로마인들과 같다문제는 공상 과학 소설에서와 같이 생명공학작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어 슈퍼 작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생명공학 종자의 유전자가 비 생명공학작물과 수정하여 그것이 생태계로 퍼져나가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모르는 방식으로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깨뜨리는 경우이다.
본인은 단순히 생명공학에 대해 전단지나 붙이며 홍보하는 사람이 아니다. 과학적 지식을 배경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농장주이다. 동물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곤충학 분야에서 박사를 받았다. 본인은 작물을 재배하는 만큼 과학 분야에 관심이 많다. 본인이 원하는 것은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적으로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아니다. 생명공학기술의 가능성은 어떠하고 그것이 초래할 결과는 어떠할 지 알고 싶은 것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선택에 있어 자유의 문제이다. 만약 생명공학제품을 먹고 싶다면 모든 사람은 그것을 먹을 권리가 있다. 더 중요하게는 생명공학제품을 먹고 싶지 않다면 먹지 않을 권리 역시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리는 이미 빼앗긴 것으로 보인다. 결국 생명공학작물은 전세계적으로 이미 재배되고 있다.
찰스 왕자는 생명공학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고 농업계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찰스 왕자처럼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생명공학작물의 현 주소가 답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과학의 발달이 초래하는 결말뿐만 아니라 그 과정 중에도 엄밀하고 공개적으로 이에 대해 논의할 책임이 있는 것이다.
기사원문보기



2,937개(143/147페이지)
번호 | 제 목 | 매체명 | 조회 | 날짜 |
97 | 나이지리아 과학기술부 장관, 생명공학 장려 | AllAfrica | 3496 | 2010.07.06 |
96 | 유럽연합국가 GM 옥수수 수입 난관에 봉착 | Reuters | 3361 | 2010.07.06 |
95 | 미국, 생명공학 작물 채택 증가 | USDA / ERS | 3723 | 2010.07.06 |
94 | 번성하고 있는 브라질의 농업 | Bayer Cropscience | 3303 | 2010.07.06 |
93 | 에너지 작물이 해수에서 자란다 | CERES News | 3516 | 2010.07.05 |
92 | 야망적인 GM 벼 프로젝트 2단계 사업추진 | agbioworld | 3487 | 2010.07.05 |
91 | LLP가ISF 학술대회 이슈가 되다 | 크롭라이프 인터내셔널 | 3288 | 2010.07.05 |
90 | 유엔 기후변화협상 최근소식 | 크롭라이프 인터내셔널 | 3395 | 2010.07.05 |
89 | EFSA, 회원국들과 GM식물 환경위해성평가 관련 회의 | EFSA | 3410 | 2010.06.30 |
88 | 말레이시아, GMAC 설치 | BCH Malaysia | 3457 | 2010.06.30 |
87 |
호주, 가뭄과 열 내성 GM밀 포장시험 승인
![]() |
Office of the Gene Technology | 4052 | 2010.06.30 |
86 |
G8국가들은 식량안보 결의 이행을 조속히 실행하여야 한다
![]() |
크롭라이프 인터내셔널 | 3315 | 2010.06.28 |
85 | 호주, GM카놀라 수요 높아 | Agrifood Awareness Australia | 3568 | 2010.06.28 |
84 | 캔자스 주립대학과 몬산토사, 밀 품종 개발 위해 공동연구 | WKARC | 3595 | 2010.06.28 |
83 | 파키스탄,생명공학이 주는혜택 | Daily Times | 3464 | 2010.06.25 |
82 | 통계에 대한 이해 | Agbioworld | 3565 | 2010.06.24 |
81 |
제3차 LMO 책임및 피해배상 전문가회의 결과
![]() |
IISD | 3382 | 2010.06.24 |
80 | 일본 정부 신젠타 해충 다중방제 후대교배종 옥수수 승인 | Crop Biotech Update | 3752 | 2010.06.23 |
79 | 다수확 농업이 지구 온난화 속도를 늦춘다 | Agbioworld | 3494 | 2010.06.23 |
78 | 유럽정치가 27명중 1명은 농업생명공학에 낮은점수 | Agbioworld | 3861 | 201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