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GMO 검정 분석의 문제점, GMO 가공식품 완벽한 분석과 표시 가능한가?
- 2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 3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례
- 4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5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6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7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8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9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10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최신뉴스

연구결과, 제초제 저항성 면화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2022년 6월 2일
유전자 변형 제초제 저항성 (GMHT) 작물은 전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채택된 GM 작물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 간 잠재적 생태학적 환경적 위해가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 Journal of Cotton Research는 GMHT 작물이 절지동물 공동체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하여 그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2년간의 조사결과, GMHT면화는 절지동물 공동체에 해로운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실, 연구결과를 통해 GMHT 작물이 인접 동종 면화 라인과 마찬가지로 풍부하고 다양한 곤충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 발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seedworld.com/study-shows-herbicide-tolerant-cotton-has-no-adverse-environmental-impacts/



2,943개(8/14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