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 2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례
- 3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4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5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6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7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8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9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10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유전자 교정기술은 6대 농업기술혁신 기술 중 하나이다
2022년 5월 24일
기술발전 덕분에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을 농부들이 할 수 있게 되었다. 농업산업은 꾸준히 진화하여 작물지도를 작성하는 드론에서부터 과일을 따는 로봇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이 블로그에서는 현재 농업에 활용되고 있는 혁신적 기술 6가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사물 인터넷, 즉 IoT는 농업에 이용되고 있는 가장 혁신기술 중의 하나이다. IoT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물리적 장치, 운반체, 가전제품, 그리고 기타 품목 등을 말한다. 이는 오늘날 농산업에 이용되는 많은 기술들 중에 하나일 뿐이다. 농사 로봇은 큰 잠재력이 있는 분야로 파종, 이식, 작물관리 등의 농사 작업을 도와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는 로봇들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Abundant Robotics사에서 만든 Harvest Croo라는 로봇이 좋은 사례인데 사과를 수확용으로 고안되었다. 또다른 유망한 농업용 로봇은 정밀농업용으로 작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로봇은 비료나 관개수 최적화 시용에 이용된다. …중략….
농업생명공학은 오늘날 가장 흥미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다. 적은 물과 비료를 시용해도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생명공학작물은 병해충에도 저항성을 가지도록 고안되었으며, 이러한 생명공학작물은 전세계 농부들이 늘어나고 있는 인구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southernmarylandchronicle.com/2022/05/24/top-6-innovations-in-agriculture-technolog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