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2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3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4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5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6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7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8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9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10'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최신뉴스

관행의 기업화된 기술집약적 농업이 생물다양성을 파괴한다는 비판이 맞는가? 아니면 오히려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맞는가?
2022년 6월 14일
미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과 곡물 등 식량의 90% 이상은 관행 농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이러한 집약적이 농업시스템을 “기업농”라는 오명을 씌워서 이들 기업이 개발한 몇 개의 다수확 작물만 재배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성위기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수십년 동안 이러한 주장은 1990년대 유전자변형작물의 등장과 함께 환경보호단체들이 자주 반복해서 인용하고 있다. 2000년대 말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단체는 소규모농사가 집약적농업의 환경적 외부효과측면에서 가장 덜 지속가능한 해법이라는 과학자들의 입장을 마치 “기업농”이 그런 것처럼 고전적인 장광설을 유포해왔다.



2,940개(8/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