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2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3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4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5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6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7'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 8관점: 유기농업은 대중이 믿는 것만큼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 9관점: GMO 작물에 대한 활동가 비판자들은 생명공학이 농업에서 화학 물질 사용을 증가시킨다고 거짓 주장합니다.
- 10인도, 새로운 게놈 편집 쌀 개발로 수확량 30% 증가
최신뉴스

한국 식량자급률 20%도 안돼… 10년 안에 식량위기 겪을수도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식량안보지수’에서 지난해 한국은 32위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꼴찌 수준이다. 일본이 매년 10위권을 웃도는 반면 한국은 2017년 24위에서 2019년 29위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인구 증가나 재해, 전쟁 등 식량위기 상황을 대비해 적정량의 식량을 비축하는 전략이 없는 데다 식량안보를 전담하는 주무 부처조차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신간 ‘식량위기 대한민국’(웨일북)을 20일 출간한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54)은 2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기후변화에 따를 식량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세우고 있는 반면 한국에선 식량안보라는 의제 자체가 생소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식량위기는 더 이상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이 겪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곡물자급률이 20% 미만인 한국이 10년 안에 겪게 될 문제일 수 있어요.”



2,937개(8/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