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GMO 검정 분석의 문제점, GMO 가공식품 완벽한 분석과 표시 가능한가?
- 2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 3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례
- 4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5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6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7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8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9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10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최신뉴스

한국 식량자급률 20%도 안돼… 10년 안에 식량위기 겪을수도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식량안보지수’에서 지난해 한국은 32위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꼴찌 수준이다. 일본이 매년 10위권을 웃도는 반면 한국은 2017년 24위에서 2019년 29위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인구 증가나 재해, 전쟁 등 식량위기 상황을 대비해 적정량의 식량을 비축하는 전략이 없는 데다 식량안보를 전담하는 주무 부처조차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신간 ‘식량위기 대한민국’(웨일북)을 20일 출간한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54)은 2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기후변화에 따를 식량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세우고 있는 반면 한국에선 식량안보라는 의제 자체가 생소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식량위기는 더 이상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이 겪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곡물자급률이 20% 미만인 한국이 10년 안에 겪게 될 문제일 수 있어요.”



2,943개(8/14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