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GMO 검정 분석의 문제점, GMO 가공식품 완벽한 분석과 표시 가능한가?
- 2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 3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례
- 4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5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6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7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8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9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10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최신뉴스

식량 보호주의 확산 속 대만 농업의 스마트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 세계 식량공급이 위협받고 있다. 인도 등 여러 나라가 식료품 수출을 통제하는 등 식량 보호주의가 확산돼 글로벌 식량안보에 대한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전쟁이라는 돌발 변수 외에도 현재 진행 중인 기후와 인구구조의 변화는 농업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2년 초 대만은 계란 부족 사태를 겪은 바 있다.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가운데 기후변화 요인도 산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대만 내 양계장은 85%가 개방형 축사로 운영되는데 2020년 11월~2021년 1월은 예년보다 큰 일교차로 산란계 사망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대만의 범부처 통합 기후연구팀은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은 쌀 생산량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팀은 2021년 8월 발표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기온 상승 속도를 억제하지 않으면 대만은 2060년경에 겨울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고 예측하며 경각심을 일깨우기도 했다.



2,943개(8/14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