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2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3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4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5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6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7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8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9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10'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최신뉴스

국제연합(UN)의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에 있어 왜 유전자교정기술이 핵심인가?

2022년 4월 21일
2005년과 2015년 사이에 이루어진 농업생산성 혁신은 식량안보가 매우 취약한 수많은 인구수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하여 8억1천만명에서 6억1천5백만명으로 그 수가 줄었다. 이 기간 동안 크게 기여한 혁신들 중의 하나가 바로 전세계의 급속한 GM작물 채택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유엔이 2000년에 가난을 퇴치하기 위해 정한 제1 밀레니엄 개발목표 달성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2015년 유엔은 이러한 목표를 2030년까지 달성하기위해 17개의 야심찬 세부목표를 세웠는데, 이것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의 첫번째로 가난 근절을 꼽았다. 농업은 이러한 SDG에 상당한 잠재적 기여를 할 수 있는데, 특히 유전자교정기술과 같은 새로운 식물육종기술의 채택을 늘림으로써 그렇다. 유전자교정기술의 기여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러한 기술들이 3대 주요 SDG: 즉 1) 전세계 어디서나 어떤 형태의 가난에 대해서 종지부를 찍는다; 2) 기아를 끝내고, 식량안보와 영양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달성한다; 3) 건강한 생활을 보장하고 모든 연령대 모든 사람의 복지를 증진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심층리뷰를 진행하였다. 관련 논문은 여기에서 확인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geneticliteracyproject.org/2022/04/21/meeting-un-sustainability-goals-why-gene-editing-is-key/?utm_source=jeeng



2,940개(9/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