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 2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례
- 3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4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5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6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7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8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9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10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최신뉴스

인도, 유전자 변형 대두박 55만톤 추가로 수입 허용해
2022년 4월 29일
로이터 통신이 입수한 정부명령에 따르면, 인도는 추가로 55만톤의 유전자 변형 (GM) 대두박의 수입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는 핵심 동물 사료의 로컬 가격이 급등하면서 영향을 받은 가금업을 돕기위한 조치로 보인다.
정부명령에 따르면, 해당 선적은 9월 30일 전에 수입되어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 2021년 8월, 동물사료의 가격이 3배 늘어 최고가격을 갱신하면서 가금업을 돕기위해 120만 톤에 달하는 GM 대두박의 첫 선적을 허용하도록 수입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www.reuters.com/world/india/india-allows-imports-extra-550000-tonnes-genetically-modified-soymeal-2022-04-29/



2,942개(9/14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