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2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3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4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5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6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7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8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9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10'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최신뉴스

질병을 옮기는 해충들을 방제하기위한 “gene drive”에 대한 찬반 논쟁
2022년 5월 8일
영국의 생명공학 회사인 Oxitec 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플로리다주에서 수십 억의 Aedes aegypti 모기를 방출하는 실험을 시작할 계획인데 이 실험은 수개월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번의 모기는 보통의 모기가 아니고 유전자변형 모기여서 사람을 물지 않고, 만약 계획대로라면, 궁극적으로 이 지역에서 모기의 수를 줄이게 된다.
찬성론자들은 이러한 계획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점이 있다고 말한다. 즉:
-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발생 감소
- 모기는 핵심 곤충종이 아니기 때문에 생태에 미칠 영향은 적다.
- 현재 모기 방제에 사용되는 농약 사용을 줄일 수 있어서 그 지역의 식물과 동물의 보호효과가 크다.
- 방출된 모기는 안전하고 신속하며 효과적이어서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없거나 적다.
반대론자들은:
- 모기가 핵심 곤충종은 아닐지 몰라도 모기를 먹는 다른 곤충들의 수를 감소시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1대잡종과 같은 원치 않는 결과로 인해 치명적 질병을 일으키는 새로운 생태종을 출현시킨다.
- 비용이 많이 들고 대규모실험에 따른 안전성문제와 효율성 문제가 따른다.
과학자들은 “gene drive” 에 대한 광범위한 활용을 구상중인데, 토착 곤충종이 질병에 면역력을 갖도록 한다거나 기후변화에 잘 견디도록 해서 멸종 곤충종을 보존 한다는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qz.com/emails/quartz-forecast/2162241/%E2%9C%A6-setting-the-worlds-deadliest-animal-to-self-destruct/



2,940개(9/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