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전문가 견해: 캐나다가 왜 유전자교정식품 규제를 풀었는지와 소비자에게는 어떤 혜택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

GLP | 2022.06.07 | 조회 2130




2022 6 2

 

캐나다 정부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규제 의존성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캐나다 보건부가 유전자교정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식품은 전통육종기술로 만들어진 식품과 같이 동일하게 규제되며 더 이상 추가적인 규제감독을 받지 않다는 최근의 뉴스는 매우 고무적이 아닐 수 없다. 1995년부터 캐나다 보건부는 혁신기술을 규제하고 있으며 유전자교정식품의 잠재적 위해성은 기타 다른 식품의 잠재적 위해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과학적 증거들을 축적해 왔다.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캐나다 보건부는 유전자교정기술이 잠재적 위해성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규제감독 요구사항을 신청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하였다.

 

유전자교정식품과 관행육종식품의 위해성은 동일하다는 이러한 결정은 캐나다의 식량생산을 위한 상업화 기회를 열어놓는 셈이다. 규제는 흔히 새로운 작물의 상업화와 식품산업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특히 한나라의 규제가 이웃나라보다 더 강화되었을 때 더욱 장애물로 작용하여 투자처가 자연적으로 효율적 규제시스템을 갖춘 다른 나라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된다.

 

2018년도에 미국은 이미 유전자교정기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기 때문에 캐나다는 규제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미국에 뒤쳐지게 되었다. 캐나다는 오랜 기간 동안 혁신에 대한 규제적 부담이 큰 국가로 인식되어 왔는데 2018년의 보고서에 따르면 규제효율측면에서 53번째를 차지해 G20국가들간에 규제효율성이 매우 낮은 나라에 속함을 보여주었다.  

 

이번의 규제완화 결정으로 그 혜택은 캐나다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의 규제완화조치로 새로운 작물 품종을 개발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기후변화 문제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이번의 규제완화조치로 식물육종가들은 새로운 작물, 과일류, 채소품종들을 개발하여 신속하게 상업화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비자가 이득을 보게 될 것이다. 더군다나 식량생산 걱정거리가 해소되고 규제완화 조치에 의한 시간 절약은 식품 가격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geneticliteracyproject.org/2022/06/02/viewpoint-here-is-why-canada-is-deregulating-gene-edited-foods-and-why-consumers-will-benefit/?mc_cid=09675e47c8&mc_eid=2008b0849b

twitter facebook
2,937개(9/147페이지)
최신뉴스
번호 제 목 매체명 조회 날짜
2777 농업에서의 크리스퍼(CRISPR) 기술: 특허 및 규제 최신 ... 관리자 1942 2022.08.07
2776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식량 체계 구축하기 관리자 2089 2022.08.07
2775 교육만으로는 반과학적인 관점을 바꿀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 관리자 2062 2022.08.07
2774 지원, 자금 지원 및 개혁을 통한 식품 분야 재활성화 사진 관리자 1866 2022.07.31
2773 GMO 반대론자들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관리자 2283 2022.07.31
2772 비료와 식량 부족의 3가지 이유 사진 관리자 2271 2022.07.31
2771 농업 생명공학이 식량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 관리자 2514 2022.07.31
2770 CropLife, 적절한 가격의 건강한 식단을 가능하게 하는 ... 관리자 2045 2022.07.31
2769 과학자들은 침입종을 관리하기 위해 유전자 편집을 탐구한다. 사진 관리자 2109 2022.07.31
2768 '식량 위기'에 맞서기 위해 웨일스 정부에 유전자 변형 작물 ... 사진 관리자 2393 2022.07.31
2767 업데이트된 기후 변화 정보는 농작물 수확이 더 위협받을 것이라... 사진 관리자 2052 2022.07.31
2766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세계 식량 안보에 진정한 위협 – ... 사진 관리자 3308 2022.07.26
2765 기후 변화에 강한 농작물 재배가 가능 한가? 관리자 1974 2022.07.26
2764 열은 식물의 건강에 해롭다. 유전자 편집이 도움이 될 방법이 ... 관리자 2368 2022.07.26
2763 지구 식량 해결방법 사진 관리자 1966 2022.07.26
2762 유전자 편집 혁명 사진 관리자 1939 2022.07.26
2761 ‘유전자 교정’ 종자로 물-비료 사용 40%↓… 한화, 미래기... 사진 관리자 1871 2022.07.26
2760 ‘안계정소장 세특 작성 노하우 #17’ 식물자원·식물생명학(1... 사진 관리자 2755 2022.07.26
2759 세계 밀 생산량을 두배로 늘릴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사진 관리자 2429 2022.07.19
2758 유전자 변형 작물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사진 관리자 2380 20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