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관점] '활동가들은 지칠 줄 모릅니다' — 30년간 전 세계 유전자변형 농작물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유전자변형 농작물은 여전히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
- 2[시론] 유전자교정작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 3‘2023 국제식물생명공학총회(IAPB)’ 성료, 전세계 1,000여명 과학자 및 전문 연구원 참가
- 4논문: 소비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일본에서의 유전자 편집 식품의 수용성을 높입니다.
- 5유전자 변형 식물: 새로운 트렌드일까?
- 6[논문] 유전자 편집은 소셜 미디어와 전통적인 미디어에서 지속적으로 더 높은 가치를 달성합니다.
- 7수입하는건 되고 기르는건 안되는 GMO… 초기 규제 완화 법안도 국회서 ‘무관심’
- 8세계를 먹여 살리는 작물, 쌀을 다시 상상하는 것
- 9[Issue+] 규제에 발 묶인 유전체 교정기술
- 10[GMO가 인간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을 증명하는 10가지 과학적 연구]는 정말로 믿을만한가?
최신뉴스

[관점] '활동가들은 지칠 줄 모릅니다' — 30년간 전 세계 유전자변형 농작물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유전자변형 농작물은 여전히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GMO 작물의 건강과 환경, 안전을 조사한 3,000건 이상의 연구가 있었고, 유해성의 증거나 정당한 안전 문제는 없었습니다.이 증거를 바탕으로, 전 세계 280개의 과학 단체들은 GMO가 비 GMO 식품만큼 안전하고 특별한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선언했습니다.사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GMO는 안전하고 환경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압도적인 과학적 합의가 있습니다.



2,844개(1/14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