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2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3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4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5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6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7'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 8관점: 유기농업은 대중이 믿는 것만큼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 9관점: GMO 작물에 대한 활동가 비판자들은 생명공학이 농업에서 화학 물질 사용을 증가시킨다고 거짓 주장합니다.
- 10인도, 새로운 게놈 편집 쌀 개발로 수확량 30% 증가
최신뉴스

[Issue+] 규제에 발 묶인 유전체 교정기술

세계 많은 나라들이 유전체 교정기술(Genome Editing, GE)을 통한 산업 혁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특히 작물 분야에서 관련 규제가 속속 풀리며 이를 활용한 작물의 개발·상용화에 속도가 붙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여전히 유전체 교정기술 활성화를 위한 토대 미비, 국민적 이해 부족 등의 이유로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자칫 유전체 교정기술 부문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의 속도에 발 맞추지 못하고 크게 뒤쳐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2,937개(1/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