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2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3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4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5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6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7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8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9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10'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최신뉴스

스위스가 유전자 편집 식품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0년간의 유전자 변형 농작물 모라토리엄(임시 중단) 이후, 스위스 의회는 정부에 CRISPR 기술을 활용해 개발된 식물과 종자에 대한 위험 기반 승인 시스템을 마련해 공개할 것을 요청했다. 이를 통해 GMO 금지에 예외를 두어, 외래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농업, 환경, 소비자에게 부가 가치를 제공하는 유전자 편집 작물의 시험 재배를 허용할 계획이다.
[뉴스 더보기▶https://geneticliteracyproject.org/2024/11/08/switzerland-edges-towards-embracing-gene-edited-foods/]



2,940개(1/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