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작물에 대한 CRISPR 유전자 편집의 규제 과제 이해
- 2[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④ “유전자 교정 앞선 한국, 규제 완화해 농업 경쟁력 높여야”
- 3크리스퍼 기술은 겨자 채소를 변형하여 혁신적인 작물의 길을 열어줍니다
- 4중국, 유전자 편집 작물 품종 17종 추가 승인
- 5[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③ 수천억 들인 새 종자, 국내 포기하고 해외로…바이오 성과 내쫓는 심사제도
- 6GMO 식품에 대한 13가지 신화, 밝혀진 사실
- 7GMO 식품에 대한 13가지 신화, 밝혀진 사실
- 8유전학에서 세대까지: 농식품 시스템과 식품 문화의 미래는 무엇일까요
- 9[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② "韓 유전자 교정 기술 사장 위기" 과학자들 국회에 한 목소리
- 10[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① 생명공학 작물 외면하는 韓, 곡물 시장 외톨이 된다
최신뉴스
[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③ 수천억 들인 새 종자, 국내 포기하고 해외로…바이오 성과 내쫓는 심사제도
이효연 제주대 교수가 개발한 제초제 내성 잔디. 일반 잔디(노란색)와 함께 기른 후 제초제를 뿌리자 내성 잔디(초록색)만 살아남았다. 유전자 변형해 개발했다고 GMO 모양으로 심었다. 2000년 개발해 국내 재배를 위한 승인 절차에 들어갔으나, 지난해 최종 거절 의견을 받았다./이효연 교수
“국내 종자 연구와 산업계의 가장 큰 문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국내에서 개발한 종자에 대한 승인 실적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심지어 승인을 받으려는 시도도 지난 30여년간 단 1건에 불과하다. 수천억원이 넘는 정부 예산을 투자하고도 정작 산업에 도움은 전혀 되지 않았다. 한국만의 독특한 ‘인체 위해성 협의심사’ 제도가 그 원인이다.”
댓글 0개
2,890개(1/14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