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식량위기 해결사, 유전자혁명]③ 수천억 들인 새 종자, 국내 포기하고 해외로…바이오 성과 내쫓는 심사제도

관리자 | 2024.11.26 | 조회 1760


이효연 제주대 교수가 개발한 제초제 내성 잔디. 일반 잔디(노란색)와 함께 기른 후 제초제를 뿌리자 내성 잔디(초록색)만 살아남았다. 유전자 변형해 개발했다고 GMO 모양으로 심었다. 2000년 개발해 국내 재배를 위한 승인 절차에 들어갔으나, 지난해 최종 거절 의견을 받았다./이효연 교수

“국내 종자 연구와 산업계의 가장 큰 문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국내에서 개발한 종자에 대한 승인 실적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심지어 승인을 받으려는 시도도 지난 30여년간 단 1건에 불과하다. 수천억원이 넘는 정부 예산을 투자하고도 정작 산업에 도움은 전혀 되지 않았다. 한국만의 독특한 ‘인체 위해성 협의심사’ 제도가 그 원인이다.”

twitter facebook
2,942개(1/148페이지)
최신뉴스
번호 제 목 매체명 조회 날짜
2942 새로운 농업 기술: 2025년을 위한 7가지 혁신 관리자 56 2025.07.08
2941 미국 농업 위기: 농업을 혁신하는 7가지 CRISPR 활용 사... 관리자 65 2025.07.08
2940 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91 2025.07.03
2939 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99 2025.07.03
2938 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80 2025.07.02
2937 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70 2025.06.18
2936 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89 2025.06.18
2935 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55 2025.06.18
2934 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59 2025.06.17
2933 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99 2025.06.09
2932 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240 2025.06.04
2931 '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230 2025.06.04
2930 관점: 유기농업은 대중이 믿는 것만큼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356 2025.05.23
2929 관점: GMO 작물에 대한 활동가 비판자들은 생명공학이 농업에...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408 2025.05.22
2928 인도, 새로운 게놈 편집 쌀 개발로 수확량 30% 증가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336 2025.05.22
2927 게놈 편집 작물은 식량과 영양 안보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421 2025.05.19
2926 유전자 변형 작물은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향상시켰습니다. 기후 ...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405 2025.05.19
2925 연구 결과를 보면 영국 농업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강력한 지지...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408 2025.05.15
2924 몇 주 동안 신선하게 유지되는 과일과 채소? 유전자 편집 '슈...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517 2025.05.15
2923 "물고기 위해까지 따지는 GMO 규제, 실망한 두뇌 ...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012 2025.05.15